Localization을 위해 String 파일을 추가하려고 보니 Strings File이 레거시 파일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처음 보는 String Catalog 파일을 통해 작업했다.
처음 String Catalog 파일을 추가하면 English가 기본으로 나온다.
다른 언어 파일을 추가하고 싶다면 왼쪽 하단의 + 버튼을 눌러 원하는 언어를 추가할 수 있다.
English에 test_key를 하나 추가했다. English에 회색 글씨로 키값이 나오는 걸 보니 값을 넣지 않아 디폴트로 키값이 노출된다는 뜻인 것 같다.
English에 key를 하나 추가하니까 Korean 옆에 0%라고 뜬다! Korean에 값을 넣어보자.
헐, 다 채웠다고 초록색 체크마크를 띄워준다... 신기해....
실제 코드에 Text(NSLocalizedString("test_key", comment: ""))로 추가해보니 다국어 적용이 아주 잘 되었다.
Text는 LocalizationStringKey를 받아서 처리가 가능해 NSLocalizedString을 쓰지 않고 Key값만 입력해도 바로 다국어 적용이 된다.
good👍
아, 해당 파일을 삭제하는 건 프로젝트 세팅의 Localizations 항목에서 제거가 가능하다.
여기서 Default 언어도 지정하고, 언어 추가 제거도 가능하다.
3월 29일.
string catalog에서 \n을 쓰고 싶었다.
localizable 파일 우클릭 > Open As > Source Code로 파일을 열어서 수정하면 된다.
String Catalog에서 개행 문자를 추가해도 안먹어서 왜 그런걸까 싶었는데 Soucre Code로 열어서 수정하니 쉽게 해결!
'SwiftUI > Planting-Mind Dev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log 06. SwiftUI - FileImporter, FileExporter (0) | 2024.04.09 |
---|---|
devlog 05. Scheme '__' is not currently configured for the test action. (0) | 2024.03.21 |
devlog 03. sink에 들어오는 값은 willSet의 값이었다. (0) | 2024.03.12 |
devlog 02. github action 세팅하기 (Feat. github action에서 xcresult 확인하는 법) (0) | 2024.03.04 |
devlog 01. SwiftUI에 CoreData 추가 (0) | 2024.03.03 |